반응형
웹 접근성 공부를 위해서 공부한 내용 시리즈
▶ 2024.02.17 - [Web] - 웹 표준, 웹 호환성, 웹 접근성
▶ 2024.02.21 - [Web] - 웹 접근성 시나리오
▶ 2024.02.25 - [Web] - 웹 접근성이 왜 필요할까?
▶ 2024.03.16 - [Web] - 웹 접근성 기술 학습
▶ 2024.03.20 - [Web] - 웹 접근성 시나리오 - 2
▶ 2024.03.27 - [Web] - WAI-aria
▶ 2024.03.31 - [Web] - 웹 접근성 시나리오 - 3
▶ 2024.04.04 - [Web] - 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미지 <= 현재 글
우리가 동적으로 입력하는 이미지, 즉 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미지들은 대체 텍스트를 어떻게 입력할까?
상품 이미지, 썸네일, 게시글 본문 등 많은 곳에 사용자가 동적으로 입력하는 곳이 있다.
티스토리에도 따로 설정하지 않는다면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가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개발자는 사용자가 어떤 이미지를 올릴지 당연히 예상할 수 없어서 대체 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다.
그렇다고 대체 텍스트를 포기할까?
당연히 그건 말이 안된다.
티스토리에서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설정을 누르면 대체 텍스트를 등록할 수 있다.
외에도 쇼핑몰 홈페이지 등도 상품에서 이미지를 등록할 때 대체 텍스트를 넣을 수 있는 영역을 만들어준다.
즉, 개발자는 사용자가 어떤 이미지를 넣을지 당연히 알 수 없다.
하지만 사용자가 대체 텍스트를 넣을 수 있도록 기능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형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에서 폰트 크기가 제대로 적용이 안돼요... (1) | 2024.04.09 |
---|---|
구글 SEO (1) | 2024.04.06 |
웹 접근성 시나리오 - 3 (1) | 2024.03.31 |
WAI-aria (0) | 2024.03.27 |
랜드마크 롤 (0) | 202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