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inx HTTPS
·
도커
Rhythm Up - 역대글▶ Docker 배포 최적화▶ Nginx HTTPS▶ 두 번째 토이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기존 배포 방식에서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었다. 그러나 HTTP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에로 전송되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가 제3자에 의해 가로채이거나 악용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S로 전환이 필요하다.  HTTPS는 SSL/TLS 인증서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인증서를 통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신뢰를 형성한다. HTTPS를 사용하면 데이터가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제3자가 데이터를 가로채더라도 이를 읽거나 해독할 수 없다. 이를 통해 사용자 정보와 서버 간 통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보안 이점 외..
Docker 배포 최적화
·
도커
Rhythm Up - 역대글▶ Docker 배포 최적화▶ Nginx HTTPS ▶ 두 번째 토이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지난 프로젝트에서 GitHub Actions와 Docker를 활용해 배포 작업을 진행했다. 초기에는 별다른 문제 없이 서비스를 배포했으며, 새로운 서비스도 동일한 방식으로 자동 배포를 설정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큰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배포된 Docker Image의 크기 문제이다. Docker Build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의 크기가 무려 4.6GB에 달했던 것이다. 단순히 Build를 했을 때는 나올 수 없는 크기였지만, 배포 과정에서 이미지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예상치 못한 용량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GitHub Actions의 작업 시간이 6분, 7분이 되는 것을..
[Docker] Node 환경 만들기
·
도커
1. 노트 프로젝트 만들기 VSCode에서 먼저 npm init을 통해 프로젝트를 초기화시킨다! 다음 Express 프레임워크를 설치해서 가벼운 백엔드를 만들어준다!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간단하게 작성하였다. ※ package-lock.json이 안 만들어졌다면, npm i 명령어를 통해서 만들어주면 된다. 2. 도커 파일 만들기 Node 프로젝트 작성이 끝났다면, 다음으론 Dockerfile을 만들어준다! Dockerfile 안에는 어떤 이미지를 만들건지, 프로젝트에 어떤 것이 필요한지 명시하는 것이다. 1. BaseImage 정하기 - FROM 제일 처음에는 FROM baseImage로 시작한다. DockerImage를 만들때 모든 것을 다 만드는 것이 아닌 BaseImage를 기반으로 작업을 진행..
[Docker] 도커?
·
도커
1. 도커?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을 말한다. 도커를 사용하면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으며, 특정 컨테이너의 상태를 변경해 새롭게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 컨테이너 기반? 도커에서 사용하는 컨테이너 기반 방식은 리눅스 컨테이너 방식으로, 리눅스 컨테이너는 운영체제 수준의 가상화 기술로 리눅스 커널을 공유하면서 프로세스를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하는 기술이다. => 하드웨어 자체를 가상화하는 가상 머신과는 달리 커널을 공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르고 성능상 손실이 거의 없다!! 컨테이너로 실행된 프로세스는 커널을 공유하지만, 리눅스 네임스페이스, 컨트롤 그룹, 루트 디렉터리 등의 커널 기능을 활용해 격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