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설명
rows x columns 크기인 행렬이 있습니다. 행렬에는 1부터 rows x columns까지의 숫자가 한 줄씩 순서대로 적혀있습니다. 이 행렬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범위를 여러 번 선택해, 테두리 부분에 있는 숫자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합니다. 각 회전은 (x1, y1, x2, y2)인 정수 4개로 표현하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x1 행 y1 열부터 x2 행 y2 열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직사각형에서 테두리에 있는 숫자들을 한 칸씩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
다음은 6 x 6 크기 행렬의 예시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w2A3O/btrAj2cIDHJ/qDKtm5hzPqIfVGna0zOMO1/img.png)
이 행렬에 (2, 2, 5, 4) 회전을 적용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2행 2열부터 5행 4열까지 영역의 테두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 이때, 중앙의 15와 21이 있는 영역은 회전하지 않는 것을 주의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7ysxf/btrAta04QXP/3PGMZ1j1KZs8L7o9sV8vC1/img.png)
행렬의 세로 길이(행 개수) rows, 가로 길이(열 개수) columns, 그리고 회전들의 목록 queries가 주어질 때, 각 회전들을 배열에 적용한 뒤, 그 회전에 의해 위치가 바뀐 숫자들 중 가장 작은 숫자들을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rows는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columns는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처음에 행렬에는 가로 방향으로 숫자가 1부터 하나씩 증가하면서 적혀있습니다.
- 즉, 아무 회전도 하지 않았을 때, i 행 j 열에 있는 숫자는 ((i-1) x columns + j)입니다.
- queries의 행의 개수(회전의 개수)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queries의 각 행은 4개의 정수 [x1, y1, x2, y2]입니다.
- x1 행 y1 열부터 x2 행 y2 열까지 영역의 테두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는 뜻입니다.
- 1 ≤ x1 < x2 ≤ rows, 1 ≤ y1 < y2 ≤ columns입니다.
- 모든 회전은 순서대로 이루어집니다.
- 예를 들어, 두 번째 회전에 대한 답은 첫 번째 회전을 실행한 다음, 그 상태에서 두 번째 회전을 실행했을 때 이동한 숫자 중 최솟값을 구하면 됩니다.
입출력 예시
rows | columns | queries | result |
6 | 6 | [[2,2,5,4],[3,3,6,6],[5,1,6,3]] | [8, 10, 25] |
3 | 3 | [[1,1,2,2],[1,2,2,3],[2,1,3,2],[2,2,3,3]] | [1, 1, 5, 3] |
100 | 97 | [[1,1,100,97]] | [1] |
입출력 예1 설명
- 회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의 풀이
const rows = 6;
const columns = 6;
const queries = [
[2, 2, 5, 4],
[3, 3, 6, 6],
[5, 1, 6, 3],
];
function solution(rows, columns, queries) {
var answer = [];
const array = [];
for (let i = 1; i <= rows; i++) {
const columnArr = [];
for (let j = 1; j <= columns; j++) {
columnArr.push((i - 1) * columns + j);
}
array.push(columnArr);
}
for (let i = 0; i < queries.length; i++) {
const turn = queries[i];
let minNum = 10001;
let prev = 0;
for (let j = turn[1]; j <= turn[3]; j++) {
let temp = array[turn[0] - 1][j - 1];
if (prev) {
array[turn[0] - 1][j - 1] = prev;
}
minNum = Math.min(minNum, temp);
prev = temp;
}
for (let j = turn[0] + 1; j <= turn[2]; j++) {
let temp = array[j - 1][turn[3] - 1];
if (prev) {
array[j - 1][turn[3] - 1] = prev;
}
minNum = Math.min(minNum, temp);
prev = temp;
}
for (let j = turn[3] - 1; j >= turn[1]; j--) {
let temp = array[turn[2] - 1][j - 1];
if (prev) {
array[turn[2] - 1][j - 1] = prev;
}
minNum = Math.min(minNum, temp);
prev = temp;
}
for (let j = turn[2] - 1; j >= turn[0]; j--) {
let temp = array[j - 1][turn[1] - 1];
if (prev) {
array[j - 1][turn[1] - 1] = prev;
}
minNum = Math.min(minNum, temp);
prev = temp;
}
answer.push(minNum);
}
return answer;
}
solution(rows, columns, queries);
무조건 4번 좌 => 우, 위 => 아래, 우 => 좌, 아래 => 위 반복하기 때문에 for문을 4개 만들어주는 방식으로 작업했다.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메뉴 리뉴얼 (2) | 2022.05.29 |
---|---|
[알고리즘] 추석 트래픽 (0) | 2022.05.28 |
[알고리즘] 짝지어 제거하기 (2) | 2022.05.21 |
[알고리즘] 타겟 넘버 (1) | 2022.05.15 |
[알고리즘] 기능 개발 (1) | 2022.05.13 |